Rabbitgumi
-
훌륭한 설정에도 불구하고 아쉬운 SF영화-<레미니센스>(2021)영화와 맥주 한 잔 2021. 8. 29. 22:09
많은 기억들이 사람들의 머릿속에 저장된다.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어떤 기억들은 저장해 두고 시간이 될 때마다 그 기억을 꺼내 떠올린다. 마치 영상이 재생되듯이 그 기억을 떠올리는 순간에는 그때 느꼈던 감정, 촉감에 집중한다. 어떤 기억은 아주 행복하고 어떤 기억은 아주 고통스럽다. 이렇게 기억들은 상황에 따라 선별적으로 저장된다. 의식적으로 이 기억을 저장하고 싶다고 해서 모두 저장되는 것은 아니다. 어떤 순간들은 어느 순간 지나고 보면 잘 기억이 나지 않기도 한다. 모든 경험 중 아주 특별한 기억들만 남아 오랜 시간 저장된다. 이렇게 저장된 기억들은 모여서 기억 속 과거가 된다. 종종 과거를 떠올리고 그 순간을 다시 돌아본다. 과거를 돌아보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누구나 과거에 집착하지 말고 현재를 살..
-
매력적인 30대 커리어 우먼의 이야기-<이지파 생활>(2021)영화와 맥주 한 잔 2021. 8. 11. 22:32
중국 드라마 의 마지막 회를 보고 나서 캐릭터들을 놓아주는 것이 꽤 오래 걸렸다. 구자와 만니, 샤오친, 세 여성의 이야기는 중국의 현재 사회상을 보여주면서도 한국에 있는 사람들도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. 얼마 전 넷플릭스에 공개된 중국 드라마 도 와 비슷하게 캐릭터에 정을 붙일 수 있는 드라마다. 33살의 여성 선뤄신(친란)이 주인공인데, 대도시 상하이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여성이다. 관리자 직급이고 싱글이다. 선차장이라고 불리는 이 여성의 이야기는 에서 만니의 캐릭터를 가지고 와 좀 더 집중하는 듯한 느낌도 든다. 의 만니는 드라마 말미에 자신을 위해 좀 더 공부하는 것을 택했다. 서른이 된 시점이지만 자기 자신을 위한 시간에 좀 더 집중하기로 결정한 것이다. 자신의 나이, 환경, 상황 ..
-
남과 북의 모가디슈 탈출기-<모가디슈>(2021)영화와 맥주 한 잔 2021. 8. 1. 21:33
어두컴컴한 방의 테이블에 막 준비한 음식들이 보인다. 테이블에는 컵라면과 밥, 김치, 통조림 같은 간단한 음식뿐이다. 테이블에 앉은 사람들은 남한과 북한 사람들이다. 남한 사람들이 먼저 음식을 먹기 시작하지만 북한 사람들은 선뜻 그 음식을 먹지 못한다. 남한 쪽 사람 중 한 명이 밥을 바꿔 먹는 걸 본 이후, 그제야 북한 사람들은 숟가락을 들고 음식을 먹기 시작한다. 독이라도 있을까 봐 먹지 못했던 북한 사람들은 의심이 완전히 없어지기 전까지 적국인 남한을 신뢰하지 못한다. 과거, 현재 등 어떤 시기에도 이에 대한 태도는 남과 북 모두 똑같다. 남한과 북한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여 밥을 먹는 장면은 영화 의 중반에 등장하는 장면이다. 영화는 1991년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에 발생한 내전으로 생사를 걸..
-
중년 여성 커플의 제자리 찾기-<우리, 둘>(2021)영화와 맥주 한 잔 2021. 7. 30. 21:39
씨네랩의 초정 시사로 개봉 전 관람 후 작성된 리뷰입니다. 나무들이 나란히 길게 배열되어 있는 어떤 강가의 공원에 두 아이가 있다. 까마귀들이 연신 울어대는 한적한 그 공원에서 두 아이는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. 한 아이가 어떤 나무 뒤에 숨고, 다른 아이는 그것을 찾기 시작한다. 한 아이가 숨은 아이 근처로 가면 숨은 아이는 그를 피해 조금씩 자리를 옮긴다. 그렇게 한참 두 아이가 숨바꼭질을 하다가 숨은 아이가 갑자기 사라져 버린다. 찾던 아이는 숨은 아이가 보이지 않자 큰 소리로 외친다. 그런데 그 목소리는 까마귀 소리다. 영화 의 오프닝 장면이다. 이 오프닝은 향후에 등장하는 두 여성의 이야기와 그 관계에 대한 은유가 담겨있어 궁금증을 유발한다. 영화 은 여성 커플인 마도(마틴 슈발리에)와 니나(바바..
-
혐오스러운 이미지만 나열되는 공포영화-<랑종>(2021)영화와 맥주 한 잔 2021. 7. 20. 00:28
과연 신이 존재할까? 만약 존재한다면 그 신이 선한 존재인지 악한 존재인지 구분할 수 있을까? 누군가는 초월된 어떤 존재를 믿는다. 하느님, 부처, 알라 등 다양한 종교 집단의 믿음을 받는 존재들은 이미 인류의 마음속에 선한 존재로 자리 잡고 있다. 과학기술의 발달로 이런 비 과학적인 존재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도 꽤 많아졌다. 하지만 여전히 각 종교에 헌신하고 믿음을 실천하는 사람들은 매주 기도를 하고 자신과 가족의 평안을 위해 종교시설에서 시간을 보낸다. 큰 종교들에서 조금 시선을 돌리면 더 다양한 종교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. 크고 작은 분파들을 비롯해 특정 지역에서 오랜 시간 전해 내려오는 토속 신앙들도 있다. 모두 사람들의 신뢰를 받아 이어져 내려오는 것이다. 다양한 신은 그 믿음이 대를 이..
-
번뇌와 번민, 요괴로 재탄생하다-<제8일의 밤>(2021)영화와 맥주 한 잔 2021. 7. 4. 23:30
삶에서 고민이나 걱정거리는 항상 찾아온다. 평생을 살면서 이런 고민들이 없이 살아가는 시간은 많지 않다. 어떤 사람은 그 무수한 고민들의 해답을 찾지 못해 우울하거나 절망하고 또 다른 사람은 그 고민을 통해 자기 자신을 알아가고 삶의 방향성을 찾기도 한다. 이 모든 과정은 쉽지 않다. 불교에는 번뇌(煩惱)라는 말이 있다. 근본적으로 자신에 대한 집착으로 인해 일어나는 마음의 갈등을 뜻한다. 인간의 기본 욕구인 의식주를 비롯해 발생하는 자신의 마음의 갈등이라고 할 수 있다. 불교에서는 이 번뇌들을 극복하고 마음의 평안을 얻은 상태가 곧 열반의 경지라고 이야기한다. 그만큼 모든 인간은 마음속에 찾아오는 다양한 번뇌를 각자의 방법으로 억누르거나 조절해가며 살아간다. 이것이 잘 조절되지 않거나 억눌러지지 않으면..
-
소리로 만들어낸 최상의 공포-<콰이어트플레이스 2>(2021)영화와 맥주 한 잔 2021. 6. 21. 22:12
누구나 삶을 이어가며 몇 번의 성장을 이루어낸다. 갓 태어나 숨을 쉬고 기어 다니다가 첫걸음을 떼면서 성장의 속도는 빨라진다. 말을 하고 또 다양한 것들에 대해 교육받으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을 받는다.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도 무언가를 배우고 자신을 발전해나가는 모습 그 자체는 어쩌면 삶을 이어가는데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일지도 모르겠다. 성장이라는 것이 꼭 학교에서 배우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. 앉아서 하는 것뿐 아니라 다른 사람을 대하고 세상을 바라보면서 혼자 깨닫게 되는 것 또한 사람을 한 단계 성장시킨다. 그래서 포기하지 않고 조금씩 꾸준히 성장의 계단을 밟아 가는 것은 중요하다. 어찌 보면 그렇게 성장해나가는 과정 자체가 인간의 생존에 필요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조금씩 개인을 발전..
-
기묘하지만 균형 잡힌 캐릭터, 크루엘라-<크루엘라>(2021)영화와 맥주 한 잔 2021. 6. 11. 21:47
삶을 살아가며 경쟁은 필수적이다. 어린아이일 때도 뭔가를 먹거나 얻기 위해 다른 친구들과 작은 경쟁을 하기도 하고, 심지어 그것이 가족이나 형제자매일지라도 그 안에서 경쟁이 벌어지는 순간이 있다. 청소년 시기가 되면 학교에서 여러 가지를 배우며 공부의 성적으로 경쟁을 한다. 내가 몇 번째이고 친구는 몇 번째인지 순위를 알게 되고 모든 사람이 그렇다고 할 수는 없지만, 그것은 앞으로의 진로에 꽤 많은 영향을 준다. 그렇게 유년기의 경쟁이 끝나고 성인이 되면 각자의 직업을 가지고 그 커리어를 발전시키기 위해 더 큰 경쟁의 시장으로 나가게 된다. 그런 상황을 개인이 받아들이든 받아들이지 않든 상관없이 그런 경쟁 상황은 끊임없이 다가오고 또 도전하게 만든다. 그런 경쟁에서는 늘 라이벌을 만나기 마련이다. 좋은 ..